전기신호 종류

- 아날로그 신호(전화, 라디오 등)
- 디지털 신호
(둘의 차이점은 다음을 참조)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합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비트열로 변환하여 랜카드로 전달하면 0,1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하게 됩니다.
물리계층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장비는 어떤게 있을까요?
바로 리피터와 허브가 물리계층에 해당됩니다.
리피터 (신호 증폭)

리피터는 말 그대로 일그러지고 약해진 신호를 복원시켜서 증폭하는 기능을 합니다.
허브 (더미허브 또는 리피터 허브)

허브 = 더미 허브 = 리피터 허브
라고도 부르며, 여러 개 PC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허브는 리피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리피터 허브라고 부릅니다.

위 그림과 같이 같은 허브로 연결된 PC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면 모든 PC가 수신하게 됩니다. 이처럼 허브는 목적지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 불립니다. 모든 PC로 전송하고, 목적지가 자신과 다르다면 무시하게 됩니다.
더미허브는 리피터의 역할과 여러 대의 PC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지만, 목적지를 특정할 수 없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허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바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배울 스위치를 통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목차] 네트워크 기초 시리즈 (앞으로 쭉 포스팅할 예정!)
- 네트워크를 들어가기 앞서 (OSI 7 Layer, TCP/IP 5 Layer, 캡슐화란?)
- 물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1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2 Layer)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3 Layer)
- 전송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4 Layer)
- 응용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5 Layer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신호 종류

- 아날로그 신호(전화, 라디오 등)
- 디지털 신호
(둘의 차이점은 다음을 참조)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합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비트열로 변환하여 랜카드로 전달하면 0,1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하게 됩니다.
물리계층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장비는 어떤게 있을까요?
바로 리피터와 허브가 물리계층에 해당됩니다.
리피터 (신호 증폭)

리피터는 말 그대로 일그러지고 약해진 신호를 복원시켜서 증폭하는 기능을 합니다.
허브 (더미허브 또는 리피터 허브)

허브 = 더미 허브 = 리피터 허브
라고도 부르며, 여러 개 PC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허브는 리피터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리피터 허브라고 부릅니다.

위 그림과 같이 같은 허브로 연결된 PC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면 모든 PC가 수신하게 됩니다. 이처럼 허브는 목적지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 불립니다. 모든 PC로 전송하고, 목적지가 자신과 다르다면 무시하게 됩니다.
더미허브는 리피터의 역할과 여러 대의 PC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지만, 목적지를 특정할 수 없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허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까요? 바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배울 스위치를 통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목차] 네트워크 기초 시리즈 (앞으로 쭉 포스팅할 예정!)
- 네트워크를 들어가기 앞서 (OSI 7 Layer, TCP/IP 5 Layer, 캡슐화란?)
- 물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1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2 Layer)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3 Layer)
- 전송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4 Layer)
- 응용 계층에서는 어떤 일을 할까? (TCP/IP 5 Layer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